[Biz] 제망매가, 처용가의 이해와 각 작품에 대한 나의의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0 12:16
본문
Download : 처용.hwp
따라서 이 노래의 내용은 탐락에 빠진 신라인의 정신적 타락을 바로잡는 교화에 있다고 볼 수 있따
방통대 한국방송통신대 향가 고전문학 / 「향가의 해부」-나경수-
1.<제망매가>의 원문
2.<향가 처용가>의 성격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제망매가, 처용가의 이해와 각 작품에 대한 나의의견
Ⅰ.<향가 처용가>
방통대 한국방송통신대 향가 고전문학 / 「향가의 해부」-나경수- 「향가 문학 연구」 -김동규-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박노훈- 「시용향악보가사의 배경적 연구」,『한국가요의 연구』- 김동욱- 서울:을유문화사, 1961 ()
1.<향가 처용가>의 원문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박노훈-
Download : 처용.hwp( 35 )
「향가 문학 연구」 -김동규-
「시용향악보가사의 배경적 연구」,『한국가요의 연구』- 김동욱- 서울:을유文化(문화)사, 1961
2.<제망매가>의 가치
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의미를 발견해 낼 수 있따 그것은 처용이 처음 헌강왕대에는 탐락에 빠진 신라인을 교화하는 호국적 임무를 띠는 동해용의 대리자로 인식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역신을 구축하는 문신으로밖에 기능하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처용이 역신을 물리치는 무의 직능을 갖거나 벽사진경의 주술력을 갖는 문신(門神)으로 신라인에게 받아들여진 것은, 헌강왕대의 관련 사항이 아니라 그 이후에 신라가 패망하는 지경에까지 간시기에 있어서의 처용의 수용양상이다.
설명
Ⅱ.<제망매가>
참고data(資料) 및 문헌
순서
3.<향가 처용가>에 대한 나의 의견
3.<제망매가>에 대한 나의의견
다.





향가 <처용가>는 처용설화의 구조적 일부로서 기능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처용가>의 성격은 설화와의 관계를 통해서 이해해야 한다는 점은 앞에서 밝힌 바 있따 설화의 서술 구조상에서 볼 때 <처용가>는 이 노래의 주체인 처용이 자신의 처의 미모에 미혹된 역신을 ‘감화’시키는 교화가무(敎化歌舞)의 노래로 서술되어 있따 여기에서 역신이 처용 처의 미모를 탐하여 동침하는 화소는 설화의 전체 서술 구조로 볼 때 신라가 망국으로 가는 동인이 되었던 국인의 ‘탐락’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 주는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따 이처럼 신라 국인들이 탐락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므로 처용이 교화의 가무로써 그들을 감화시켜 나라를 구하려 했던 것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많은 논의에서 처용을 정신적 타락을 치유하는 불력의 상징적 인물로 보지 않고, 역신을 물리치는 무(巫)로 이해했던 것이다.
()
방통대 한국방송통신대 향가 고전문학
그런데 문제는 처용의 교화 대상이 된 것은 신라 국인이 아니라 역신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