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Internet 시대의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 Internet 시대의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5 03:07
본문
Download : 인터넷_시대의_수용자와_미디어_교육.hwp
그러나 시대가 바뀌었다. 인터넷신문의 쌍방향성은 인쇄신문의 일방향과 대치된다. 여기서는 달라진 수용자의 개념(槪念)과 수용자 부각에 따른 안티 사이트와 이에 따른 문제넘을 해결하기 위한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을 짚어 보도록 하겠다. 인터넷신문의 쌍방향성은 자극-reaction response의 패러다임을 가능케 한다. TV에서 나오는 대로 움직이고 유행에 따라가고, 미디어들의 왜곡된 보도에 편식을 하고 있었으며, 뭐가 진실이며 거짓인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던 것이다. 즉, 기존의 미디어 사용자는 정보 소비자에 불과했다. 인터넷신문의 사용자들은 일방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reaction response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따라 의식화되지 못한 수용자들은 넘쳐나는 정보들 속에서 혼란만 유발할 뿐이다. 그리하여 미디어 교육의 피료썽이 예전보다 더욱더 부각되어지기 시작하였다.
인문사회 인터넷 시대의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 인터넷 시대의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인문사회] Internet 시대의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 Internet 시대의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순서
설명
인터넷 시대의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제7장 미디어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Internet 시대의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제7장 미디어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인터넷 시대의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제7장 미디어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머리말 과거에의 수용자들은 미디어에 의해 아주 수동적이었다. 그러나 이런 기존의 미디어 수용자 개념(槪念)은 인터넷의 사용자로 이동하면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따 더 이상 일방적 정보 소비자나 정보 선택의 한계에 머물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정보소비자가 곧 정보 생산자가 될 수 있따 즉시적인 피드백에 의해 수용자 스스로가 생산자가 되어 정보상품을 전송할 수 있따 인터넷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인터넷_시대의_수용자와_미디어_교육.hwp( 13 )
다. 안티 운동 또한 제기되어 편협된 정보들은 살아남기 힘들게 됐다. 인터넷의 수용자 개념(槪念) 기존의 미디어는 커뮤니케이션을 주도하는 쪽은 언제나 송신자이며 수용자는 송신자의 의도적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수동적 입장이었다. 뉴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수용자들은 다양하게 意見을 내보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입장의 정보를 취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미디어 이용자는 언제, 왜, 누구로부터 어떤 정보를 얻고 누구에게 정보를 보내는가에 대한 통제권을 갖고 있지 못하다. 인터넷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매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