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 용비어천가의 문헌적 특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9 20:45
본문
Download : 용비어천가의문헌적특[1].hwp
『용비어천가』는 훈민정음이 반포된 후 정음으로 쓰여진 첫 번째 책이고, 그 내용은 조선의 창업 이후에 왕권의 정당성을 선전하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널리 알려졌다.
순서
다. 六朝의 事蹟을 통해 조선 왕조 건국의 어려움과 그 天命性을 보이고 있는 125장의 한글 가사와 그에 해당하는 한시를 본문으로 하여, 각 장별로 한문 주해가 붙어 있는 책이다.
Download : 용비어천가의문헌적특[1].hwp( 31 )
[국어국문] 용비어천가의 문헌적 특색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의문헌적특[1]-9160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1/%EC%9A%A9%EB%B9%84%EC%96%B4%EC%B2%9C%EA%B0%80%EC%9D%98%EB%AC%B8%ED%97%8C%EC%A0%81%ED%8A%B9%5B1%5D-9160_01.gif)
![용비어천가의문헌적특[1]-9160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1/%EC%9A%A9%EB%B9%84%EC%96%B4%EC%B2%9C%EA%B0%80%EC%9D%98%EB%AC%B8%ED%97%8C%EC%A0%81%ED%8A%B9%5B1%5D-9160_02_.gif)
![용비어천가의문헌적특[1]-9160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1/%EC%9A%A9%EB%B9%84%EC%96%B4%EC%B2%9C%EA%B0%80%EC%9D%98%EB%AC%B8%ED%97%8C%EC%A0%81%ED%8A%B9%5B1%5D-9160_03_.gif)
![용비어천가의문헌적특[1]-9160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1/%EC%9A%A9%EB%B9%84%EC%96%B4%EC%B2%9C%EA%B0%80%EC%9D%98%EB%AC%B8%ED%97%8C%EC%A0%81%ED%8A%B9%5B1%5D-9160_04_.gif)
![용비어천가의문헌적특[1]-9160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1/%EC%9A%A9%EB%B9%84%EC%96%B4%EC%B2%9C%EA%B0%80%EC%9D%98%EB%AC%B8%ED%97%8C%EC%A0%81%ED%8A%B9%5B1%5D-9160_05_.gif)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그리고 『용비어천가』는 중등 교과서에도 실리는 우리 문학의 귀중한 유산으로 높은 가치가 매겨져 있다. 그리고 『용비어천가』는 중등 교과서에도 실리는 우리 문학의 귀중한 유산으로 높은 가치가 매겨져 있다. 세종대왕의 명에 의해 세종 24년(1442년) 3월부터 준비작업이 시작되어 권제, 정인지, 안지 등에 의해 본문이 製進되었고 다시 박팽년, 강희안, 신죽주, 인현로, 성삼문, 이개, 신영손 등이 補修를 명받아 주해를 덧붙인 후 세종 29년(1447년) 10월 전 10권이 간행되었다. 六朝의 事蹟을 통해 조선 왕조 건국의 어려움과 그 天命性을 보이고 있는 125장의 한글 가사와 그에 해당하는 한시를 본문으로 하여, 각 장별로 한문 주해가 붙어 있는 책이다.
『용비어천가』는 훈민정음이 반포된 후 정음으로 쓰여진 첫 번째 책이고, 그 내용은 조선의 창업 이후에 왕권의 정당성을 선전하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널리 알려졌다.
세종대왕의 명에 의해 세종 24년(1442년) 3월부터 준비작업이 시작되어 권제, 정인지, 안지 등에 의해 본문이 製進되었고 다시 박팽년, 강희안, 신죽주, 인현로, 성삼문, 이개, 신영손 등이 補修를 명받아 주해를 덧붙인 후 세종 29년(1447년) 10월 전 10권이 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