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재료학] 시멘트와 골재의 성능평가에 적용되는 시험방법과 시험기기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8:35
본문
Download : [건축재료학] 시멘트와 골재의 성능평.hwp
또는 석고의 혼입량이나 혼화재의 혼입도 큰 영향이 있다.
가) 비이카 장치에 의한 방법(표준 주도의 시멘트 풀 만드는 방법)(KS L 5102)
④ 혼합기를 시동하여 30초 동안 제 1속으로 혼합한다. 또는 석고의 혼입량이나 혼화재의 혼입도 큰 effect(영향) 이 있따
⑤ 혼합기를 정지하고 15초동안에 반죽 전부를 스크레이퍼(Scraper)로 긁어내려 모아놓는다
다.
② 표준 주도(Normal Consistency)를 얻기에 적당한 물의 양을 메스실린더로 재어서 혼합용기 안에 넣는다.
① 시멘트 응결과정이 너무 짧아도, 너무 길어도 실제 공사 때는 불편이 생기므로 각기 시멘트에 대해
⑥ 혼합기를 제 2속으로 시동하여 1분간 혼합한다.
서 응결의 처음 과 끝낼 때를 측정(測定) 할 필요가 있따
시멘트 일수록 느리다.
[건축재료학] 시멘트와 골재의 성능평가에 적용되는 시험방법과 시험기기 조사
⑫ 판위에 올려놓은 링 안에 넣은 반죽은 그림1.4의 로드(Rod)의 밑에 중심을 맞추고 그 플런저(Plunger)의(이때 플 런저는 거꾸로 꽂으면 된다 ) 끝 C(플런저의 굵은 끝의 지름 10±0.05mm)를 반죽의 표면에 접촉시켜 멈춘 나사 E를 조인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건축재료학,시멘트와 골재의 성능평가에 적용되는 시험방법과 시험기기 조사,시멘트,골재
순서
③ 시멘트를 물 안에 넣고 물을 흡수 하도록 30초 동안 둔다
② 응결은 시멘트와 물과의 화학reaction(반응)인 수화작용(hydration) 중의 한 현상이다.
① 시멘트 응결과정이 너무 짧아도, 너무 길어도 실제 공사 때는 불편이 생기므로 각기 시멘트에 대해 서 응결의 시작과 끝낼 때를 측정 할 필요가 있다.
① 시료 시멘트 1000g을 저울에 단다
설명
⑪ 예리한 흙손 날로 몇 번 가볍게 대어 윗면을 매끄럽게 한다.
![[건축재료학] 시멘트와 골재의 성능평-125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A%B1%B4%EC%B6%95%EC%9E%AC%EB%A3%8C%ED%95%99%5D%20%EC%8B%9C%EB%A9%98%ED%8A%B8%EC%99%80%20%EA%B3%A8%EC%9E%AC%EC%9D%98%20%EC%84%B1%EB%8A%A5%ED%8F%89-1254_01.jpg)
![[건축재료학] 시멘트와 골재의 성능평-125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A%B1%B4%EC%B6%95%EC%9E%AC%EB%A3%8C%ED%95%99%5D%20%EC%8B%9C%EB%A9%98%ED%8A%B8%EC%99%80%20%EA%B3%A8%EC%9E%AC%EC%9D%98%20%EC%84%B1%EB%8A%A5%ED%8F%89-1254_02_.jpg)
![[건축재료학] 시멘트와 골재의 성능평-1254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A%B1%B4%EC%B6%95%EC%9E%AC%EB%A3%8C%ED%95%99%5D%20%EC%8B%9C%EB%A9%98%ED%8A%B8%EC%99%80%20%EA%B3%A8%EC%9E%AC%EC%9D%98%20%EC%84%B1%EB%8A%A5%ED%8F%89-1254_03_.jpg)
![[건축재료학] 시멘트와 골재의 성능평-1254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A%B1%B4%EC%B6%95%EC%9E%AC%EB%A3%8C%ED%95%99%5D%20%EC%8B%9C%EB%A9%98%ED%8A%B8%EC%99%80%20%EA%B3%A8%EC%9E%AC%EC%9D%98%20%EC%84%B1%EB%8A%A5%ED%8F%89-1254_04_.jpg)
![[건축재료학] 시멘트와 골재의 성능평-1254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A%B1%B4%EC%B6%95%EC%9E%AC%EB%A3%8C%ED%95%99%5D%20%EC%8B%9C%EB%A9%98%ED%8A%B8%EC%99%80%20%EA%B3%A8%EC%9E%AC%EC%9D%98%20%EC%84%B1%EB%8A%A5%ED%8F%89-1254_05_.jpg)
⑦ ①항에서 ⑥항에 따라 준비된 시멘트 반죽을 고무장갑을 낀 손으로 속히 구형(球形)으로 만들고 두 손을 약 15cm 간격으로 벌리어 한손에서 다른 손으로 6번 던진다.
⑨ 큰 쪽 끝에 있는 여분은 손바닥으로 한 번에 떼어낸다. ② 응결은 시멘트와 물과의 화학반응인 수화작용(hydration) 중의 한 현상이다. ③ 시멘트의 응결은 분말도가 높을수록, 물-시멘트 비가 적을수록, 또 온도가 높을수록 빠르고, 풍화된 시멘트 일수록 느리다.
⑩ 링의 큰 쪽 끝을 밑으로 하여 유리판 H위에 높고 작은 쪽 끝에 있는 여분의 반죽은 링의 윗면에 대하여서 조금 기울여 잡은 예리한 흙손 날로 한번에 경사지게 문질러 링 윗부분을 잘라낸다
Download : [건축재료학] 시멘트와 골재의 성능평.hwp( 21 )
③ 시멘트의 응결은 분말도가 높을수록, 물-시멘트 비가 적을수록, 또 온도가 높을수록 빠르고, 풍화된
⑧ 한쪽 손바닥 위에 올려놓은 구(球)를 다른 손에 주니 원추형링(그림 1.4)의 큰 쪽으로 밀어 넣고 링(Ring)을 반죽 으로 완전히 채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