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건축의 원점, 김중업거인의 초상 (1922 ~ 1988)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10:38
본문
Download : 한국 현대건축의 원점, 김중업거인의 초상 (1922 ~ 1988).hwp
조형의식이 단일하지 않고 오히려 이원적이고 대립적이라는 사실은 거장들의 작품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데, 김중업의 작품에서도 첫째, 굵게 움직이는 선, 둘째, 작은 원이 서로…(省略)
다. 귀찮으시더라도 꼭 다운받으신 다음 좋은 자료평가 부탁드려요 ^^항상 행복과 건강이 따르길 기도하며.... ^^*한국현대건축의원점 , 한국 현대건축의 원점, 김중업거인의 초상 (1922 ~ 1988)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순서
귀찮으시더라도 꼭 다운받으신 다음 좋은 資料평가 부탁드려요 ^^
항상 행복과 건강이 따르길 기도하며.... ^^*
레포트/공학기술
1.한국 현대건축의 원점, 김중업거인의 초상 (1922 ~ 1988)
■소 개
■김중업 서산부인과 병원
■제주대학교 구본관(1967)
■UN기념공원 정문
■추모관
■육군 박물관-1970
■프랑스 대사관
2.참고data(자료)
-------------------------
참고도서: 현대건축의 거장 김중업
김중업에 대하여...
1900년대 식민지와 6.25전쟁의 소용돌이로 인해 세계 건축의 흐름에 ‘소외’정도를 너머, ‘고집’으로 일관된 우리 나라의 건축적 상황에서 서구의 모더니즘을 한국 건축으로 승화시킨 최초의 건축가이며, 자기만의 독특한 건축적 경지인 서양건축의 한국화 혹은 한국건축의 현대화를 이룬, 한국 현대 건축사에서 가장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는 건축가가 바로 김중업이다.
그 후, 日本 의 설계사무소에서 실무를 익힌 뒤 한국에 돌아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1952년 베니스국제예술가 대회에 참가, 여기서 근대건축의 건축가 거장, 르 꼬르뷔제를 만나 파리에 있는 그의 사무실에서 일하게 되면서 현대 건축사에서 가장 중요한 건축물들이 설계되는 과정을 몸소 체험하였다.
,공학기술,레포트
한국 현대건축의 원점, 김중업거인의 초상 (1922 ~ 1988)
여러분 정말 열심히 작성한 report입니다.
1922년 평양에서 5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감수성이 예민하여 시와 그림에 탐닉하던 그는 그림교사의 권유로 요코하마고등학교 건축학과에 입학하여 파리 에꼴 데 보자르 출신의 나까무라 준뻬이교수 밑에서 가르침을 받았다.
1956년 한국으로 돌아온 후 자신의 사무실을 개설하면서 자신의 창조성을 보다 확대하고 未來를 향한 거대한 세계를 펼치는 작품활동을 하였으나 꼿꼿한 선비정신을 떠올리게 하는 성격, 비타협적인 작가의식 때문에 군사정권과 껄끄러운 관계를 유지해오다 1971년 11월 거의 반강제적으로 출국, 프랑스로 추방되어 해외에서 유랑생활을 하다가 1978년 11월 영구 귀국 1988년 5월 11일 6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서울대 교수, 홍익대 교수, 프랑스 공인건축가, 하버드 객원교수 등을 거치면서 필그림 홀 계획안(56년), 부산대학교 본관 및 유수 대학의 건물들, 주한 프랑스 대사관(59년), 부산 충혼탑(80년), 서울올림픽 기념비(85년) 등 국내외에 대략 200여 개의 프로젝트와 작품을 남겼다.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한국현대건축의원점
Download : 한국 현대건축의 원점, 김중업거인의 초상 (1922 ~ 1988).hwp( 15 )
여러분 정말 열심히 작성한 레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