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01:28
본문
Download :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사.hwp
시ㅅㄴ 시 세계ㅅ 기지ㄴ 륙종로 진동고다 (구인 이 18)
위의 문장은 한문의 어순이 국어의 어순과 일치하고 있따 따라서 토도 한자의 우측에만 붙어 있음으로 한자가 놓인 어순에 따라 토와 함께 읽어 나가면 된다
토를 뒷장에 있는 표에 따라 정자로 …(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사.hwp( 48 )
다. 조선시대의 기록에서는 한문에 토를 다른 것을 현결이라고도 하고 현토라고도 하였는데 이는 구결과 토를 혼용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우리말발달사과제 ,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사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 구결과 토에 관한 槪念
• 구역인왕경
• 日本(일본)문자에 대하여
구결과 토에 관한 槪念
이 해결해야할문제를 처음 공부할 땐 구결과 토가 같은 의미인줄 알았다. data(자료)를 찾던 도중 뒤에 복사한 표를 찾았을 땐 ‘이제 끝이다’란 생각을 했다. 아무런 사전지식도 없었고 있는 건 단지 옥편 하나뿐이었다.
우선 책에 나와있지 않지만 구역인왕경중 읽기 쉬운 한 부분을 해석해 보겠다.
우리말발달사처리해야할문제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사
구결과 토에 관한 개념과 구역인왕경 및 일본문자에 대하여 설명했습니다. 즉 구결은 토에 의해서 지정된 한문의 독법을 말하는 것임에 대하여 토는 한문에 첨가되어 구결을 이루는 한 요소로서 한문을 우리말로 읽거나 이해하도록 지시하는 부호나 국어의 기능어, 또는 그 집합체들이라 할 수 있따 다시 쉽게 말한다면 구결에는 토가 포함되어 있을뿐 아니라 그 한문을 읽는 순서까지도 나타내고 있다는 말이다. 우리의 선인들도 구결과 토의 槪念을 엄격히 구별해서 사용해 온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한문의 음, 훈을 알고 토를 읽을 수 있어도 그리 쉽게 이해되지 않는 글이었다.
하지만 조사중에 구결과 토에 대상으로하여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구역인왕경
처음 책에 나온 구역인왕경을 해석하려고 했지만 답답할 뿐이었다.구결과 토에 관한 definition 과 구역인왕경 및 일본문자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즉 한문을 읽을 때 단순히 토를 다는 작업을 다른 말로 구결이라 한다고 생각했었다. 불경이라는 이유도 있겠고 당시의 한글표현과 오늘날의 한글표현이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 생각했다. 구결은 향찰, 이두와 대등한 것으로 문장이나 그 이상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토는 향찰, 이두와 비견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문장의 단위까지를 포함할 수도 없는 것으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