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경어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05:39
본문
Download : 국어경어법.hwp
국어경어법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국어경어법.hwp( 68 )
설명
국어경어법 , 국어경어법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서 론
본 론
1.국어 존대법 체계
2. 주체 경어법
3. 주체 존대법
1.주체 존대의 형태소
2.주체 존대의 대상
3 존대의 요인들
4.직접존대와 간접존대
결 론
2. 주체 경어법
주체경어법은 일반적으로 화자가 주체를 「화자 자신과 대비시켜」 높여주는, 다시 말하면 주체가 화자보다 존귀하기 때문에 성립하는 경어법이라고 기술 되어 왔다. 이들은 청자인 아들과의 대비에서 상위의 인물로 판정되었기 때문에 존대된 것이다.(화자:아버지, 청자:아들)
에서 존대된 것은 「엄마」와 「삼촌」이다.
(1) 아저씨가 오신다. 그런데 이들은 곧 화자의 부인이며 아우다. 사실 이 말은 적어도 틀
리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위와 같은 기술로는 {-시-}의 모든 기능이 說明(설명) 될 수 없다는 사실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
(2) 엄마 어디 가셨니?
(3) 삼촌 오셨다.
에서 「아저씨」가 {-시-}로써 존대된 것은 그 「아저씨」가 이 문장을 말하는 사람보다 상위의 사람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말은 누구에게나 정당한 것으로 인정받아 왔던 것 같다. 여기서 우리는 소위 주체존대법이 주체가 「화자」보다 높을 때에만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가 화자보다 하위자일지라도 「청자」에게 상위자면 마찬가지로 성립될 수 있다(물론 안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주체와 화자간의 존비관계뿐만 아니라 주체와 청자간의 존비관계도 주체경어법의 주요한 성립요건의 하나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이 존대된 것은 이들이 화자보다 상위의 인물이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4) 할아버지가 진지 잡수실 땐 일어나 앉는 법이다. 그런데 아무리 자신을 「할아버지」(즉 「너의
할아버지」)로 객관화(3인칭화)시켰다고 하더라도 「할아버지」가 화자 자기보다 상위의 인물이라 판단해서 존대한 것이라고는 해석할 수 …(투비컨티뉴드 )
국어경어법
순서
다.(화자:할아버지, 청자:손자)
는 화자가 자기를 존대한 문장이다.
화자가 자신의 동작에 {-시-}를 쓰는 용례도 이 「대 청자」의 조건에 눈을 돌리지 않고서는 說明(설명) 이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