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철학에 있어서 개인과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2 02:10
본문
Download : 서양철학에 있어서 개인과 사회.hwp
물론 필자는 공간이 일종의 유기체라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칸트는 이미 Compositum과 Totum을 구분하였다. 칸트가 말하는 Compositum은 우리가 앞서 말한 합성체적 전체와 같은 것이고, Totum은 유기체적 전체와 같은 것이다.






전체가 먼저냐 부분이 먼저냐 하는 문제에 있어서, 개인주의자들은 부분이 먼저라고 주장하고 전체론자들은 전체가 먼저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전체라는 말과 부분이라는 말은 일의적이 아니라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전자는 부분의 존재가 먼저 전제된 뒤에 그 부분들간의 결합에 의해 성립되는 것이고, 후자는 부분에 앞서서 부분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전제되는 것이다. 우리는 하나의 분필도 전체라고 말할 수 있고 한마리의 고양이도 전체라고 말할 수 있따 그러나 이 경우 전체라는 말의 의미는 상이하다. 우리가 전체라는 말과 부분이라는 말을 일의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한, 양 주장 모두 다 그 나름의 정당성을 갖고 있는 듯이 보인다. 칸트는 공간을 Totum으로 간주했다. 단지 유기체적 전체와 Totum 이 양자에 있어서는 전체가 부분에 선행한다는 점에서 같은 것임을 말하고 싶을 뿐이다. 합성체적 전체의 경우에는 부분이 전체에 선행한다. 그러나 유기체적 전체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체가 부분에 선행한다. 칸트가 Compositum과 Totum을 구분한 것과 유사하게 플라톤도 총체(sum)와 전체(whole)를 구분하고 있따 플라톤의 sum과 whole의 대비는 칸트의 Compositum과 Totum의 대비와 평행적이다. 하나의 분필은 그 분필을 구성하는 분필 입자들의 결합에 불과하다.
우리가 전체라는 말의 의미를 이렇게 두가지로 구분해 놓고 보면, 전체와 부분의 문제를 둘러싼 개인주의자들과 전체론자들간의 논쟁은 서로 상이한 전체의 concept(개념)에 의거해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따 개인주의자들이 염두에 두고 있는 전체는 합성체적 전체이기에, 그들은 부분이 전체에 선행하며…(To be continued )
전체가 먼저냐 부분이 먼저냐 하는 문제에 있어서, 개인주의자들은 부분이 먼저라고 주장하고 전체론자들은 전체가 먼저라고 주장한다. 우리가 전체라는...
전체가 먼저냐 부분이 먼저냐 하는 문제에 있어서, 개인주의자들은 부분이 먼저라고 주장하고 전체론자들은 전체가 먼저라고 주장한다. 분필의 경우는 합성체적 전체요, 고양이의 경우는 유기체적 전체다. 우리가 전체라는... , 서양철학에 있어서 개인과 사회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서양철학에 있어서 개인과 사회.hwp( 44 )
,인문사회,레포트
서양철학에 있어서 개인과 사회
다.